토뮤 - 신뢰할 수 있는 온라인 토토사이트 먹튀 검증 커뮤니티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컨텐츠 정보

본문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아~~~~~~ 글쓰다가 임시저장 한거같은데 보니까 다 사라져있어서


의욕 많이 꺾였지만 다시 써봄니다..  이번엔 좀 재밌게 썼었는데.......







암튼 본론으로 들어가기전에 펨형들이 미리 알아둘 개념이 있음


OTT사업자들은 컨텐츠 자산들은 감가상각을 빠르게 하는 특징. 


보통 4년안에 90%의 컨텐츠 투자액을 털어버리는데, 


이게 유출되는 비용이 아니라 회계상 비현금성비용임. 장부상에서만 -로 찍혀있는거.


밑에 컨텐츠 원가로 쓰여있는건 영화나 드라마 찍을때 투자된 비용(제작비) 으로 이해해주시면 됨.


그리고 무형상각비는 그런 판권 컨텐에 대한 비현금성 비용이고.


OTT회사들의 매출원가는 제작비이고 제작비에는 투자진행중 비용 + 판권상각비등이 포함되있음.


그래서 보면 당기순손실이 엄청 찍혀있지만, 실제로는 그만큼의 손실은 아니다 라는거.



그리고 이렇게 판권 IP에 투자된 비용을 빠르게 감가로 털어버리지만, 그 IP자산들은 


사라지는게 아니라 이후에도 추가적 이익이 발생 할 수 있는 자산인것을 잊어선 안됨.


그래서 장기적으로 봤을땐 OTT자체에서 좋은 영화드라마 들을 제작해 보유하는것이 GOOD.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일단 현재 국내 OTT 시장점유율 이고, 확실히 넷플릭스가 많이 따라잡히고


쿠플이랑 티빙이 맹렬하게 추격해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쉽게도 우리 왓챠는 순위에 들지못했음.


왓챠의 주 고객은 10대 20대인데 그 이유가 4인 공유가능 요금제가 제일 싼 이유로 생각됨.









우선 웨이브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주요주주는 SK와 KBS, SBS ,MBC 로 이루어져있어서 뒷배가 빵빵한 회사임


여태까지 4000억을 투자유치 했으며 국산 OTT에서 어느정도 자리를 잡은 상황임.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웨이브의 손익표고 그래도 현재 매출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음. 매출보다 비용이 큰건


공격적으로 컨텐츠쪽으로 투자를 하고 있다는거고 위에서 말한것처럼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비용에 보면 컨텐츠 관련 감가를 빠르게 줘서 비현금성 비용이 포함되어 장부상 손실로 뜬거고


22년도와 23년도에 실제 회사로 들어온 현금흐름은 +470억  +532억이고


회사내 현금자산등을 보면 괜찮아 보임.


다만 어쨋거나 현금이 회사로 들어와도 또 투자를하거나 IP를 사와 그 이상으로 현금이 나가곤 있는 상황.














자 다음은 티빙임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티빙은 CJ ENM에서 분할되어 나온 회사고 아무튼 CJ그룹 자회사로 보면 될듯싶음.


그외에 KT랑 네이버에서도 지분투자가 어느정도 이루어져있음.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20년도 매출은 안봐도될거같고,  22년도 23년도 매출성장을 보면 웨이브보다 높고, 맨 처음 시장점유율 보면


확실히 웨이브보다 더 공격적으로 시장파이를 먹어가고 있는걸 알수있음.


다만 여기도 마찬가지로 감가비용이 커서 매출보다 원가비용이 높게 발생되고 장부상 손실이 꽤 큼.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약 4500억정도 투자받고 공격적으로 영화드라마 컨텐츠에 투자하고, 판권등을 사왔음


판권 취득비에만 매년 1500억씩 투자를 하고 있음.


씨제이 노하우 더해서 아마 넷플>쿠플>티빙으로 3위권은 계속 유지하지 않을까 함.








아무튼 여기까지 간단하게 티빙과 웨이브에 대해서 알아봤음.


이젠 왓챠 차례. 이전글에도 언급했지만, 이런 J커브를 기대하는 회사들은 


매출성장으로 성장성을 보여주는게 가장 기본임. 위에 웨이브와 티빙을 보면 알겠지만


엄청난 yoy 매출성장을 보여왔음.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왓챠 재밌는건 20년도에 코인투자로 52억 수익봤었음. ㅋㅋ)


일단 21년도 당기순이익 -1358억중 -1100억은 전환주 비현금성 비용으로 처리된거라 무시해주시고..


21년까지 왓챠도 높은 성장세를 보였음. 그런데 웨이브와 티빙은 22년도 23년도에도 성장세를 보였지만


왓챠는 살짝 증가했다가 23년도에 많이 733억 > 438억으로 매출이 많이 내려앉음.


컨텐츠원가 비용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컨텐츠를 해당 플랫폼에서 즐길수있는건데 


왓챠는 그거 마저도 떨어지고 있는 상황임.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음 왓챠의경우 600억외에 400억 정도의 추가 자본, 총 1천억정도로 투자유치를 했었는데


국내 대형 방송사와 대기업들의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OTT기업과


일반 투자회사들에게서 투자받는 왓챠의 갭이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으로 봄.


추가적인 자본을 받아서 지속적으로 컨텐츠 개발투자와 IP등으로 매출을 끌어올려야 하는데


지금 매출이 저렇게 꺾여버렸고, 23년도 왓챠내에 유동자산은 겨우 65억밖에 안되는 상황이 됨.


당기순손실이야 장부상 감가상각등으로 크게 잡혀서 실제 회사내에 손실유출은 없지만,


매출을 유지할 컨텐츠 투자금이 메말라버린 상태라고 보여짐.





이렇게 재무만 보면 이정도 해석, 좀더 깊게 생각하면 조금 더 위의 상황까지 파악이 가능한데


왓챠의 경우 외부 데이터까지 봐보면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매출이 22년도에서 임직원이 260명에서 100명 초반대까지 쭉 떨어졌음.


이게 매출이 전망때문에 필요없는 인원들을 정리한건지상황이 안좋은걸 알고 이탈한건지는 좀 찾아봐야겠지만


어쨋거나 그렇게 인원이 줄으니 거기에 따른 매출도 확 줄어버림.


그리고 제일 중요한 이용자수 MUV도 계속계속 하락하고 있는것이 그래프로 확인이 됨.




image.png [6편] 국산OTT회사들, \'왓챠\'는 위험한 상태일까? . feat:재무분석

투자사들을 보면 확실히 자본에서 밀릴수밖에 없다는걸 알수있음.

(CJ , SK 대기업과 국내 대형 방송사들 vs 벤쳐투자회사들)




왓챠의 경우 비주류, 매니아층의 컨텐츠들도 제공하려는것에 대해 높게 사고싶지만


이런것들을 오래 보려면 왓챠가 타 회사에 인수되는거 외엔


큰 가능성이 보이진 않는 상황임.









[1편] 재무제표로 위메프 티몬 사태를 예견 할 수 있었던 신호들. feat:재무분석

https://www.fmkorea.com/7290213999


[2편] "티몬 위메프"와 "쿠팡 배민"은 근본부터 달랐음 . feat:재무분석

https://www.fmkorea.com/7294044869


[3편] 위메프 티몬은 망했지만, 당근마켓 리디는 괜찮을까 .feat재무분석


[4편] 위메프 티몬같은 사태가 직방이랑 마켓컬리에도 일어날까

https://www.fmkorea.com/7306637176


[5편] 포텐간 '한성컴퓨터' 재정위기? 간략하게 알아보기

https://www.fmkorea.com/7315141739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새 글
새 댓글
포인트 랭킹
레벨 랭킹
    • 오프화이트
      1,179,388
    • 민둥잉
      623,410
    • 미니언즈
      479,715
    • 4
      찹찹
      370,915
    • 5
      벼랑위의당뇨
      368,125
    • 6
      광주
      364,695
    • 7
      코카콜라
      237,213
    • 워킹데드
      LV.21
    • 뱃살공주
      LV.19
    • 팬티요정
      LV.18
    • 4
      역삼동이쁜이
      LV.16
    • 5
      박하사탕
      LV.16
    • 6
      보라돌이
      LV.13
    • 7
      돈육점
      LV.13
전체 메뉴
알림 0